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무주택자2

연말정산 주택자금 공제, 세대 기준 정확히 알아보기 연말정산에서 주택자금 공제를 적용할 때, "세대기준 주택수"를 기준으로 판단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세대기준"이라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세대기준 및 배우자의 주택 소유 여부 근로자 본인이 무주택자라 하더라도, 배우자가 주택을 소유하고 있다면 세대 기준으로는 유주택자로 간주됩니다.  예를 들어, 주말부부여서 따로 거주하는 경우 근로자 본인은 무주택자일 수 있으나, 배우자가 1 주택을 소유하고 있다면 근로자는 세대기준 1 주택자가 되어 공제 적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부부는 주민등록등본상 따로 거주하는 경우에도 "동일세대"로 봅니다.  2. 직계가족과 세대 구분세대의 기준을 판단할 떄, 고모, 삼촌, 조카 등은 같은 주소에 거주하더라도 동일한 세대로 보지 않습니다... 2025. 2. 3.
월세 세액공제 받는 방법 [2022년 연말정산] 1. 월세세액공제 매달 월세를 내고 있는 무주택의 직장인이라면, 하단의 조건을 충족할 경우 연말정산에서 월세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2. 월세 세액공제의 조건 12월 31일 현재 "무주택 세대주(외국인 포함)" 세대주가 주택자금 공제(주택마련 저축공제,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공제,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공제), 월세액 세액공제를 받지 않는 경우라면 근로자가 "무주택 세대원"인 경우에도 가능함 "총급여액이 7천만 원 이하"인 근로자(종합소득금액 6천만 원 초과 시 제외) "국민주택규모" 또는 "기준시가 3억 원 이하"의 "주택(주거용 오피스텔, 고시원 포함)"을 임차하기 위해 지급한 월세액이어야 함 해당 근로자 본인 또는 근로자의 기본공제 대상자가 임대차 계약을 체결하였을 것 3. 공제 .. 2022. 12. 2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