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택자금공제2

연말정산 주택자금 공제, 세대 기준 정확히 알아보기 연말정산에서 주택자금 공제를 적용할 때, "세대기준 주택수"를 기준으로 판단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세대기준"이라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세대기준 및 배우자의 주택 소유 여부 근로자 본인이 무주택자라 하더라도, 배우자가 주택을 소유하고 있다면 세대 기준으로는 유주택자로 간주됩니다.  예를 들어, 주말부부여서 따로 거주하는 경우 근로자 본인은 무주택자일 수 있으나, 배우자가 1 주택을 소유하고 있다면 근로자는 세대기준 1 주택자가 되어 공제 적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부부는 주민등록등본상 따로 거주하는 경우에도 "동일세대"로 봅니다.  2. 직계가족과 세대 구분세대의 기준을 판단할 떄, 고모, 삼촌, 조카 등은 같은 주소에 거주하더라도 동일한 세대로 보지 않습니다... 2025. 2. 3.
주택임차차입금(전세자금) 원리금 상환액 소득공제 1. 주택임차차입금(전세자금) 원리금 상환액 소득공제 전세 보증금을 은행에서 대출받은 경우, 이에 대한 원금과 이자를 상환하였다면 해당 금액에 대해 연말정산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2. 주택임차차입금(전세자금) 관련 자주 묻는 Q&A (출처: 국세상담센터) 무주택 세대의 세대원도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나요? 가능하다. 세대주가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주택마련저축 소득공제를 받지 않는 경우로서 근로소득이 있는 세대원인 경우 공제 가능합니다.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소득공제는 부양가족이 없는 무주택 단독 세대주도 공제 가능한가요? 가능하다. 부양가족이 없는 세대주의 경우여도 무주택자라면 공제 가능합니다. 외국인 근로자의 경우에도 주.. 2022. 11. 2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