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무관련 정보/연말정산

주택담보대출 이자상환액 소득공제, 부부 공동명의인 경우에도 공제가능할까?

by 세무사H 2025. 1. 24.
반응형

주택담보대출 이자상환액 소득공제, 부부 공동명의인 경우에도 공제가능할까?

 

728x90

배우자와 공동명의로 아파트를 구입하였는데, 배우자 명의로 받은 주택담보대출을 같이 상환하고 있습니다. 주택담보대출 이자상환액 소득공제도 같이 받을 수 있나요?

 

2024년 중 기준시가 6억원 이하인 주택을 취득하면서 상환기간이 10년을 초과하는 주택담보대출(장기주택저당차입금)을 받은 세대주(세대주가 주택관련공제를 받지 않는 경우는 세대원도 가능)는 이자상환액에 대해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소득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주택 명의자와 대출 명의자가 일치해야 합니다.

즉, 부부 공동명의로 주택을 구입했더라도 대출이 배우자 단독 명의로 되어 있다면, 대출 명의자가 아닌 근로자는 이자상환액에 대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

 

공동명의 주택에 대해 부부가 함께 주택담보대출을 상환하더라도, 대출 명의자가 아닌 사람은 이자상환액 소득공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소득공제를 고려한다면, 주택 명의자와 대출 명의자를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택 소유자와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차입자에 따른 공제여부 (출처:국세청)

 


배우자가 보유하고 있던 주택의 지분을 증여받아 공동명의 주택으로 변경하면서, 제 명의로 주택담보대출을 받아 이자를 상환하고 있습니다. 해당 이자상환액에 대해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을까요? 

 

무상으로 이전받은 주택에 대해 장기주택저당차입금을 차입하고 이자를 상환하는 경우 해당 차입금의 이자는 소득공제 대상*이아닙니다.

(*소득공제 대상: 해당 주택 취득을 위해 그 주택에 저당권을 설정하고 차입한 차입금) 

 

다만, 부담부증여*로 주택을 취득하고 증여등기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해당 주택을 담보로 장기주택저당차입금을 대출받아 증여재산에 담보된 채무를 상환하는 경우, 해당 주택담보대출 이자상환액에 대해서는 공제가 가능합니다. 
(*부담부증여: 증여재산에 담보된 채무를 증여받은 자가 인수한 경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