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직장인 세무정보/급여 및 근로소득14

퇴직임원을 고문 또는 자문역으로 재채용시 소득의 구분 1. 퇴직한 임원을 고문 또는 자문역으로 재채용하는 경우 소득의 구분 퇴직 임원과 자문계약을 체결하여 매월 일정액의 자문용역수수료를 지급할 때, 해당 소득의 구분은 중요한 문제입니다. 특히, 퇴직 임원과 비상근 자문계약을 맺었고, 임원은 개인사업자나 법인 소속 근로자가 아닌 개인 신분입니다.이러한 상황에서 지급하는 소득이 기타소득인지, 아니면 근로소득 또는 사업소득인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됩니다.  2. 소득 구분에 대한 소득세법상의 해석 소득세법에 따르면, 거주자가 독립된 자격 없이 고용관계나 유사한 계약에 의해 지급받는 보수는 근로소득으로 간주됩니다. 반면, 독립된 자격으로 특정 회사에 계속적이고 반복적으로 경영자문용역을 제공하고 그 대가를 지급받는 경우에는 사업소득에 해당합니다.계속적이고 반복적이 아.. 2024. 6. 14.
2024년 귀속 근로소득 간이세액표(2024.3.1.이후 적용) 2024년 3월 1일부터 시행되는 근로소득 간이세액표입니다. 시행일(2024.03.01) 이후 원천징수하는 분부터 적용합니다. ○ 공제대상가족 중 8세 이상 20세 이하 자녀가 있는 경우의 세액은 근로소득 간이세액표의 금액에서 해당 자녀수별로 아래 금액을 공제한 금액으로 함. 다만, 공제한 금액이 음수인 경우의 세액은 0원으로 함. → 8세 이상 20세 이하 자녀가 1명인 경우 : 12,500원 → 8세이상 20세 이하 자녀가 2명인 경우 : 29,160원 → 8세이상 20세 이하 자녀가 3명인 경우 : 29,160원 + 2명 초과 자녀 1명당 25,000원 예) 월 급여 3,500천 원(비과세 및 자녀 학자금 지원금액 제외) · 부양가족의 수 : 본인 포함 4명(8세 이상 20세 이하 자녀 2명 포함).. 2024. 3. 8.
출산 가정 지원 강화: 2024년부터 적용되는 출산 보육수당 비과세 확대 안내 2024년 새해가 시작되면서 근로자 가정에 반가운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바로 출산 보육수당의 비과세 한도가 확대된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이 중요한 변경 사항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근로자 가정이 어떻게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출산 보육수당 관련 2024년 세법개정사항 출산 보육수당은 근로자 또는 그들의 배우자가 출산하거나 6세 이하 자녀를 보육하는 데 지원되는 수당입니다. 이 수당은 2024년 1월 1일 지급분부터 월 20만 원까지 비과세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이전의 월 10만원 한도에서 상향 조정된 것으로, 출산 및 양육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2. 출산 보육수당 비과세 조건근로자 또는 배우자의 출산·6세 이하 자녀 보육 관련 수당으로서 월 20만 원 .. 2024. 1. 2.
근로소득 간이지급명세서 월별 제출이 2026년으로 연기됩니다. 1. 근로소득 간이지급명세서 매월 제출 2026년으로 2년 유예 원래는 2024년부터 근로소득 간이지급명세서 매월 제출이 시행될 예정이었습니다만 2023년 11월 3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서 상용근로자에 대한 간이지급명세서 매월 제출을 2년 유예하기로 하였습니다. 따라서, 근로소득 간이지급명세서 매월 제출은 2026년 1월 1일부터 시행될 예정입니다. 2. 2024년 간이지급명세서 제출주기 이에 따라 2024년 1월 1일부터 적용되는 간이지급명세서의 제출주기는 아래와 같습니다. 대상소득제출주기(제출기한)상용근로소득반기별 제출(지급일이 속하는 반기의 마지막 달의 다음달 말일까지 제출) 원천징수대상 사업소득매월 (소득의 지급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달 말일까지 제출)인적용역 관련 기타소득매월 (소득의 지급일이.. 2023. 12. 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