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무관련 정보/연말정산

12월 31일 퇴사자의 연말정산에 대하여

by 세무사H 2022. 11. 14.
반응형
728x90

12월 31일 퇴사자의 연말정산

1. 12월 31일 퇴사자 연말정산에 대하여 

12월 31일에 퇴사한 근로자가 연말정산을 회사에서 이행해주기를 요구한다면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 것일까?

원칙상 12월 31일 퇴사자의 경우 12월 말 기준 재직자가 아닌 퇴직자에 해당하므로 퇴직하는 달인 12월 귀속 근로소득 지급 시 정산을 수행하여야 한다.

소득세법 제137조에 따라 재직 중인 계속 근로자와 중도 퇴사자는 연말정산에 대한 원천징수 시기가 다르다.

소득세법 제137조 [근로소득세액의 연말정산]
① 원천징수의무자는 해당 과세기간의 다음 연도 2월분의 근로소득 또는 퇴직자의 퇴직하는 달의 근로소득을 지급할 때에는 다음 각 호의 순서에 따라 계산한 소득세(이하 이 조에서 “추가 납부세액”이라 한다)를 원천징수한다. (2015. 3. 10. 개정)

 

2. 세법상 원칙 

계속 근무자의 경우 다음 해 2월분의 근로소득을 지급할 때 연말정산하는 것이며, 퇴사자의 경우 퇴직하는 달의 근로소득을 지급할 때 정산하는 것이 소득세법에서 정하고 있는 원칙이다.
2023년 12월 31일 퇴사자의 경우 퇴사한 달인 12월 급여를 12월 31일에 지급한다면 퇴사일에 중도 퇴사자에 대한 연말정산을 하고, 그 다음달 10일인 2024년 1월 10일까지 원천징수 이행상황 신고를 해야 한다.

 

3. 원칙대로 진행할 경우 퇴사자에게 발생하는 불이익

12월 31일 퇴사자의 경우 퇴사하는 달의 근로소득을 지급받을 때 중도퇴사자에 대한 연말정산을 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해당 시기에는 국세청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가 오픈되지 않아서 신용카드 사용액, 보험료, 의료비, 교육비 등 공제신고 항목을 모두 반영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퇴사자의 경우 퇴사할 당시 공제받지 못한 내역에 대해서는 퇴직한 근로자가 다음 해 5월에 종합소득 과세표준 확정신고를 진행하여 공제받을 수 있다.

2023년 12월 31일에 퇴사한 근로자가 2024년 1월 1일 이후 다른 회사에 입사하였다면, 새롭게 입사한 회사에서 연말정산을 하려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새롭게 입사한 회사에서는 해당 근로자에 대하여 2023년 귀속 근로소득을 지급한 내역이 없으므로 해당 근로자의 2023년 귀속 근로소득에 대하여 연말정산을 해 줄 의무도 없고 해 줄 수도 없다.
따라서, 2024년에 새로운 회사에 입사한 경우라도 2023년 귀속 근로소득에 대해서는 2024년 5월에 종합소득세 확정신고를 통해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누락분을 반영하여 정산을 따로 해야 한다.

 

4. 실무상 적용할 수 있는 방법

위와 같이 12월 31일에 퇴사한 근로자는 퇴사할 때 정산하는 것이지만, 일부 근로자의 경우 퇴사할 때 연말정산을 하지 않고 계속 근로자처럼 다음 해 3월 10일까지 연말정산을 해달라고 요구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실무에서는 12월 31일 퇴사자가 퇴직하는 달의 근로소득을 지급할 때 근로소득세 정산을 하지 않고 계속 근무자로 보아 다음해 2월분 급여를 지급하는 때 연말정산을 하는 것도 가능하기는 하다. (12월 31일 퇴사자를 계속 근무자처럼 보아 다음 해 2월 귀속 2월 지급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를 3월 10일까지 제출할 때 퇴사자의 연말정산 결과를 A04 연말정산 란에만 기재)

 

원칙은 퇴사한 날이 속한 달의 급여를 지급할 때 퇴사자에 대한 정산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원천징수의무자인 회사에서 12월 31일 퇴사자에 대해 실무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다음 해 2월에 연말정산을 진행하여도 크게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대해서는 회사와 근로자 간에 방식을 정해서 처리할 수 있을 것 같다.

728x90
반응형